슬기로운 대학생활

기록유산부터 브이로그까지 지금은 일기시대

작성자관리자

등록일2022-12-02

facebook kakao link
기록유산부터 브이로그까지
지금은 일기시대
 
한 해를 마무리하며 올해를 되짚어보다 작은 노트에, 스마트폰 메모장에, 블로그 한구석에 적어둔 기록을 발견한다. 그중에서도 기억과 추억을 가장 애틋하게 보존할 방법은 일기 아닐까? 어린 시절 방학 숙제로만 쓰곤 했던 일기가 다양한 형식으로 MZ세대 일상을 채우고 있다. 역사 속 기록부터 최근 유행까지 변화한 일기 흐름을 들여다보자.

 

일기도 우리 민족이었어, 기록의 민족
어릴 적부터 ‘쉽게 읽는’ 타이틀을 단 《조선왕조실록》과 《난중일기》 등을 권장 도서로 접했을 만큼 우리 역사엔 유독 공식 기록물이 많다. 국가에서 방대한 분량의 기록을 남긴 건 세계적으로도 드물다. ‘왕께서 적지 말라고 말씀하셨다’는 사사로운 말 한마디까지 놓치지 않고 담은 건 분명 흔치 않다. 당시 사관(史官) 기록 임무는 조정 대신과 왕조차도 함부로 넘보거나 휘두를 수 없는 것이었다.

이런 가치를 인정받아 《조선왕조실록》, 《일성록》, 《승정원일기》 등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됐다. 일기는 아니지만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해인사 장경판전 등 팔만대장경도 빼놓을 수 없다. 외세 침략에 흔들리지 않길 기원하며 한 글자 한 글자 파 내려간 기록은 수백 년 세월을 건너 지금까지 보존 중이다. 기록뿐 아니라 보존하는 데에도 진심이었던 우리. 이 정도면 일기와 기록의 민족이라 말할 수 있지 않을까?

챌린지가 유행이라면 일기도 도전
역사 속 기록은 대체로 권력의 흔적이다. 기록을 남기려면 자본과 지식을 갖춰야 했고, 그걸 보존하기 위해서는 큰 권력이 필요했다. 하지만 지금은 누구든, 어디서든, 무엇이든 쓸 수 있는 기록 포화 시대. 이제 다이어리보다 스마트폰으로 일기를 쓴다. 종이에 펜으로 눌러 쓰던 때와 다르지만 하루를 기록하고 나누는 감성은 여전하다.

80~90년대생 일기장은 ‘싸이월드’였다. 미니홈피 다이어리로 나만의 일기를 쓰거나 공유 다이어리, 비밀 다이어리로 친구와 우정을 다졌다. 게시글을 작성하면 ‘참 잘했어요’ 도장을 찍듯 ‘포도알’을 하나씩 줬고, 이걸 모아 미니홈피를 꾸미기도 했다. ‘그런 건 네 다이어리에 적고 포도알이나 받아’라는 농담이 더 이상 통하지 않지만 일기 사랑은 여전하다.

최근 포도알 대신 실제 현금과 비슷한 리워드를 주는 일기 챌린지가 인기였다. 2021년 5월 1일부터 2주간 진행할 예정이었던 네이버 블로그 ‘오늘일기’ 챌린지. 14일간 매일 일기 쓰기에 성공하면 네이버페이 16,000원 포인트를 주는 이벤트였다.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는 포인트를 준다는 소식에 너무 많은 참여자가 몰렸다. 결국 전원에게 1,000원씩 지급하는 것으로 3일 만에 조기 종료했다.

약속했던 리워드에 미치지 않는 보상 등으로 논란 가득했던 네이버 블로그 일기 챌린지가 올해는 주간일기로 돌아왔다. 6월 6일부터 시작해 12월 4일까지, 약 6개월 동안 매주 블로그 게시글을 올리는 챌린지였다. 이전 이벤트의 쓴맛을 느낀 듯 보다 체계적으로 준비됐다. 참여자에게 네이버 블로그 내에서 사용 가능한 스티커, 이모티콘 등을 제공했으며 달마다 추첨을 통해 1,000명에게 네이버페이 50,000원을 지급했다. 6개월 일기를 달성한 사람 중 1명에게는 3,000만 원 상당 해외여행 상품권도 제공한다. 쉬워보이지만 6개월 간 꾸준히 진행하는 게 꽤나 어렵다는 후문이다. 뭐든 ‘일단 하면 열심히 한다’는 MZ세대는 기록을 이어 나갔고, 네이버는 해당 이벤트로 가입자 수와 데이터를 늘렸다.

남의 일기는 왜 이렇게 재밌을까
어느새 ‘브이로그(V-log)’가 유튜브 생태계에서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비디오(Video)와 블로그(Blog)를 더한 영상 형태로, 특별한 주제의 콘텐츠보다 일상 그대로를 담는다. 한때 블로그가 일상과 수많은 정보를 전하며 온라인 유행을 선도했던 것처럼, 영상 주류 시대엔 브이로그가 그 자리를 대체했다.

SNS가 일기 판도를 바꾸기도 했다. 제작 장벽이 낮기 때문에 관련 콘텐츠가 빠르게 늘어났다. 누구나 쓸 수 있는 기록을 공유 가능한 형태로 다듬으면 되기 때문이다. 게시글 하나하나 그 자체가 일기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상 전시가 아니라는 측면에서 기존 SNS 활용과 궤를 달리한다.

일기가 재미있는 이유로 다른 사람 일상을 엿본다는 다소 관음증적 측면도 있을 것이다. 가장 내밀한 기록 중 하나인 일기를 공유하며 친근함을 느끼고 공감한다. 브이로그 성공 이유도 블로그보다 더욱 가까운 일상을 들여다볼 수 있다는 점이 크다. 온라인에서 자신을 표출하는 문화가 보편화되면서 브이로그 등 일상 콘텐츠는 더욱 성장했다. 유명하고 특출난 재능을 가진 누군가가 아닌, 나와 비슷한 이의 일상을 접하면서 더욱 쉽게 공감할 수 있기 때문. 다른 사람 일상을 보면서 대리만족하기도 한다.

‘일기 구독’ 서비스도 등장했다. 문보영 시인은 손수 쓴 일기를 편지처럼 우편으로 부쳤다. 아날로그 매력이 더해져 왜인지 낭만적이다. 구독자 인기에 당시 썼던 일기를 모아 《일기시대》 단행본으로 엮어 출판하기도 했다. 작가는 자신을 ‘일기주의자’라고 칭하며 일기의 매력을 말한다. ‘일기는 너무나도 인간적이고 선한 면을 가지고 있어서 누군가의 일기를 읽으면 그 사람을 완전히 미워하는 것이 불가능해진다’고.

일기라는 말이 주는 감성과 따뜻함은 메말라가는 온라인 세상에서도 수요가 여전하다. 일기는 낭만으로 느껴질 만큼 비밀스레 대화하는 느낌을 주고, 일상을 공유하며 마음의 장벽을 낮춘다. 타인과 연결망이 많아질수록 깊게 소통하기 어려워서일까. 솔직하고 내밀한 기록이 과거 어느 때보다 진심을 담은 듯 느껴진다.
CREDIT
 김혜정 기자

QUICK MENU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