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돈내산이지만 내 것은 아닌 리셀(Resell)

작성자관리자

등록일2022-05-04

facebook kakao link
내돈내산이지만
내 것은 아닌 리셀(Resell)
 
중고나라와 당근마켓을 넘어선 되팔기 열풍. 이제 되팔기는 안 쓰는 제품만 대상으로 하지 않는다. 실제로 사용하지 않을 한정판 제품을 구매해 프리미엄을 붙여 되파는 리셀이 새로운 재테크로 떠오르고 있다. 리셀과 재테크를 합쳐 ‘리셀테크(resell-tech)’라 부르기도 한다고. 리셀 거래 전용 플랫폼이 등장할 정도로 핫한 MZ세대의 새로운 투자 방식을 들여다보자.
 

리셀에 도전해보다

리셀을 직접 체험하고자 했지만 진입부터 어려웠다. 시장은 우리가 상상하지 못했던 방식으로 굴러간다. 되팔기 위한 제품을 구하는 일부터 시작이다. 우선 제품 출시 소식을 전하는 SNS 계정을 구독했다. ‘리셀’하면 운동화가 가장 먼저 떠오른다. 2010년대부터 운동화 수집 열풍이 불면서 여러 브랜드가 다양한 아티스트와 협업해 한정판을 선보였다. 그런데 한정판 출시가 이렇게나 잦았다고? 모든 제품을 한정 판매하는 게 아닐까 싶을 정도로 하루 이틀 건너 유명 운동화 브랜드들의 출시 소식이 들려왔다.

대부분 한정판은 응모를 받아 무작위로 당첨자를 선정, 판매하는 래플(raffle) 방식이다. 실제로 사용하지 않을 테지만 뉴발란스에서 출시하는 한정판 운동화 구매에 응모했다. 결국 당첨되지 않아 도전은 장렬히 실패했다. 하지만 주변을 둘러보면 당첨된 사람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그만큼 한정판 출시가 잦고, 리셀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는 것을 체감했다.
 
▶ 사진 출처_'뉴발란스’ 공식 홈페이지(좌) / 사진 출처_'나이키' 공식 홈페이지(우)

왜 리셀일까?

MZ세대 리셀테크에서 가장 뜨거운 분야는 운동화다. 이전에는 샤넬이나 롤렉스처럼 고가의 명품 브랜드가 리셀 제품으로 인기였다. 애초에 비싸고 드문 제품을 더 비싸게 거래하는 것이었다. 리셀이 투자 방식으로 주목받기 시작한 건 한정판 운동화가 리셀 시장에 들어오면서부터다. 비교적 고가이더라도 어찌 됐든 운동화 한 켤레를 구매할 자본만 있으면 도전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정판이라면 리셀을 통한 수익이 보장된다는 점도 매력이다. 덕분에 주식 등 다른 투자와 달리 진입 장벽이 낮아 20대를 사로잡는 재테크로 떠올랐다.

단순히 물건을 구매하는 것을 넘어 소비에서 의미를 찾는 MZ세대의 특징도 반영됐다. ‘가치 소비’가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지만 ‘한정판’이나 ‘프리미엄’이라는 수식어에도 반응한다. 소비를 하나의 자아 표출로 여기는 것이다. 이렇게 한정판 구매와 판매, 재구매가 MZ세대 내에서 쳇바퀴 돌며 새로운 자본주의 흐름을 만들고 있다.
 
▶ 사진 출처_크림(KREAM)(좌) / 무신사(우)

리셀이 부른 짝퉁 공방

한국소비자원의 2021년 7월 분석에 따르면 리셀테크 관련 소셜데이터 언급량은 2018년 15,247건에서 2020년 21,802건으로 43% 증가했다. 연관어 순위에서는 대표 브랜드와 제품명 사이에 리셀 플랫폼 ‘크림(KREAM)’이 12위로 등장했다.

최근 리셀 시장의 가장 뜨거웠던 이슈에도 크림이 엮여있다. 크림은 2020년 네이버의 자회사 '스노우'에서 선보인 플랫폼으로, 네이버의 ‘손자 회사’로 불린다. 지난 1월, 한 소비자가 온라인 패션 스토어 ‘무신사’에서 구매한 제품을 크림에서 리셀하려고 했으나 검수 과정에서 가품으로 밝혀졌다. 당시 무신사는 ‘100% 정품만을 취급’한다며 크림의 가품 결정에 대한 법적대응을 예고했다. 하지만 4월 5일, 문제의 제품이었던 ‘피어 오브 갓 에센셜’ 본사에서 무신사 판매 제품을 가품으로 확인했고, 무신사의 공식 사과로 마무리됐다.

한정판의 민낯

한정판 제품을 출시하는 기업 입장은 어떨까. 그들 제품으로 관련 없는 제삼자가 수익 얻는 것을 부정적으로 받아들이진 않을까. 여러 업계 관계자 인터뷰에 따르면 오히려 ‘환영한다’는 반응이 많다. 래플 응모가 몰리거나 리셀 가격이 올라갈수록 브랜드 이미지 마케팅에 좋다는 해석이다. 때문에 한정판이 아닌, 마케팅 목적의 제품 출시라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실제로 리셀 열풍에 우려를 표하는 목소리가 많다. 취미에 그치던 수집과 중고 거래가 투자 방식으로 떠오르면서 투자 과열, 투기로 번지는 듯한 모습을 보이기 때문이다. 무신사와 크림이 벌인 가품 공방처럼 진품 여부도 문제다. 한정판이 인기를 얻을수록 가품은 끊임없이 등장할 것이며, 결국 이 피해는 소비자에게 돌아온다. 자본주의 시장에서 새로운 이익 창출 수단을 만들어내는 것은 분명 창의적이나, 이런 우려 속에서 리셀 시장이 어떤 변화를 맞을지는 더 두고봐야 할 것 같다.
CREDIT
 김혜정 기자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