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모전/대외활동

제4회 한-아세안 학술에세이 공모전

 마감
조회수 : 1294
제4회 한-아세안 학술에세이 공모전
주최

한-아세안센터, 아세안대학네트워크

주관 한-아세안센터
후원 아세안사무국, 대한민국 외교부, 부경대학교 글로벌지역학연구소, 베트남 국립외교원
접수기간 2019-06-18 ~ 2019-10-31
응모분야 학술/논문
홈페이지 공모전 홈페이지 바로가기
첨부파일 다운로드
bookmark facebook kakao link

공모요강

제4회 한-아세안 학술에세이 공모전

 

 

 

● 주최

- 한-아세안센터, 아세안대학네트워크

- 협력기관: 아세안사무국, 대한민국 외교부, 부경대학교 글로벌지역학연구소, 베트남 국립외교원

 

● 배경

 

1989년 대화관계 수립 이래, 한-아세안 관계는 정치·안보, 경제, 사회·문화를 아우르는 전 분야에서 확대되며 눈부신 발전을 거듭해 왔습니다.

아세안은 한국의 제2위 교역 파트너이자 제3위 투자 대상 지역이며, 한국은 동 분야에서 아세안의 제5위 협력국입니다. 또한,

아세안은 우리 국민이 가장 많이 찾는 지역으로서 연간 1천만명 이상의 인적교류를 자랑하는 가까운 파트너로 성장해왔습니다.

특히, 2019년은 한-아세안 대화관계 수립 30주년을 맞는 의미 있는 해로, 오는 11월에는 아세안 대화상대국 중 최초로 세 번째로 개최되는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와 제1회 한-메콩 정상회의가 개최될 예정입니다.

 

 

 

이에, 한국과 아세안의 협력증진을 위해 설립된 국제기구인 한-아세안센터는 한국과 아세안의 대학(원)생들이 다변하는 국제환경과 발전해가는

한-아세안 관계에 대한 다양한 시각과 지식을 공유할 수 있는 ‘2019 한-아세안 학술에세이 공모전’을 개최합니다. 이번 공모전을 통해 아세안과

한국의 미래 주역들이 양 지역 간의 지속적이고 진정한 파트너십 강화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 주제 (아래 4가지 주제 중 1가지 선택)

 

(1) 인도-태평양 시대의 한-아세안 협력

 

전 세계 65%의 인구와 62%의 GDP, 46%의 무역량을 차지하는 인도-태평양 지역은 세계 경제의 요충지이자, 중국의 일대일로와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이

중첩되는 무대이기도 합니다. 세계열강이 각축하는 인도-태평양 시대에서 역내 중소국가로서 이해관계를 공유하는 한국과 아세안이 어떻게 협력할 수 있을까요?

 

 

 

(2) 아세안의 연계성을 넘어서

 

아세안 연계성(ASEAN Connectivity)은 아세안경제공동체를 이끄는 핵심축으로 아세안 지역통합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아세안은 보다 큰 경쟁력과 회복 탄력성을 지닌 지역공동체 구축이라는 비전을 가지고, 물리적·제도적·인적 연계성을 강화하기 위해 경주하고 있습니다.

아세안이 주목해야 할 주요 연계성 분야로는 무엇이 있을까요? 아세안 지역을 넘어서는 지역통합을 이루기 위해서는 아세안 연계성을

어떤 방향으로 발전시켜가야 할까요?

 

 

 

(3) 상호 호혜적 문화교류를 위한 한국의 아세안류(流)

 

아세안과 한국 간의 경제·사회문화적 교류가 증가함에 따라 한국 내에서는 아세안에 대한 인지도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세안 지역에서

한국의 문화가 ‘한류’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진 반면, 아직 한국에서는 아세안의 문화에 대한 깊은 이해와 교류가 부족한 현실입니다.

다양한 민족, 종교, 수많은 토속 문화 등의 다채로움을 지닌 아세안의 문화를 어떻게 보다 효과적으로 한국에 알릴 수 있을까요?

아세안에서의 ‘한류’처럼 한국에서 ‘아세안류’를 일으킬 방안으로는 무엇이 있을까요?

 

 

 

(4) 한-아세안 관계 30주년

 

1989년 부문별 대화관계를 수립한 이래, 지난 30년 간 한-아세안 관계는 발전을 거듭해왔습니다. 한-아세안 관계는 2010년 전략적 동반자 관계 격상되었고,

2017년에는 부산에서 최초로 아세안 역외의 아세안문화원이 설립되는 등, 한국과 아세안의 관계는 점점 더 깊어지고 있습니다. 한국과 아세안은

지난 30년 간 어떻게 발전해왔고, 또 앞으로는 어떻게 발전해가야 할까요?

 

 

 

● 참가자격

 

- 한국 및 아세안 국적으로 한국 및 아세안 대학에 재학중인 대학(원)생

 

  (휴학생 지원 가능)

 

 

 

● 언어

 

- 영어 또는 한국어

 

※ 국문 에세이의 경우에도 초록(abstract)은 영문으로만 작성

 

 

 

● 기한

 

1) 제출마감: 2019년 9월 1일(일)

 

2) 수상자 발표: 2019년 10월 8일(화)

 

3) 제출 서류: 에세이, 초록(abstract), 신청서

 

 

 

형식

 

1) 영문

 

Max. 4,000 words or 10 pages

 

Times New Roman

 

12-point

 

1.5 interlinear

 

2) 국문

 

Max. 3,000 words or 10 pages

 

한컴바탕

 

11-point

 

1.5 interlinear

 

*Abstract: 500 words / 1 page

 - 참고문헌 인용은 APA (sixth edition) 형식으로 작성할 것.- 모든 에세이는 마이크로소프트 워드 형식으로 제출해야 함.

 

 

 

● 수상자

 

- 아세안 수상자 10명 (아세안 국가별 1명)

 

- 한국 수상자 5명

 

 

 

● 시상 특전

 

- 수상자 전원은 학술 워크숍에 초청하여 출품한 에세이를 발표할 기회 부여함.

 

- 수상자 전원에게는 한국 및 아세안 탐방 기회가 주어짐

 

 

1) 한국 탐방 (2019년 11월경) – 한국 소재 유관기관, 대학, 연구기관, 문화 유적 등 방문

 

2) 아세안 탐방 (2020년 1월경) – 베트남 소재 유관기관, 대학, 연구기관, 문화 유적 등 방문

 

※ 여행경비 (항공료, 숙박비 등)는 한-아세안센터가 부담

 

 

 

● 평가

 

모든 논문은 주최기관이 지정한 심사위원들에 의해 평가됨.

 

 

 

● 공지

 

- 모든 서류는 온라인 접수처(http://bit.do/2019akessay)를 통해 제출.

 

- 표절 관련 내용은 www.plagiarism.org 홈페이지를 참고.

 

- 에세이 공저는 허용되지 않음.

 

- 이전 출판사례가 없는 에세이만 접수 가능.

 

- 문의: essay@aseankorea.org

 

 

 

● 참고문서

 

모든 참가자들은 아세안 E-Library(http://elibrary.aseankorea.org)를 방문하여 아세안 공동체와 한-아세안 관계와 관련된 문서들

(예: ASEAN Community Vision 2025, Master Plan on ASEAN Connectivity 2025,

ASEAN-ROK Plan of Action to Implement the Joint Declaration on Strategic Partnership for Peace and Prosperity 2016-2020,

Joint Statement of the ASEAN-ROK Commemorative Summit 등)을 읽기를 권장함.

  • 본 게시물의 정보는 주최사가 제공한 자료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내용에 오타나 오류가 있을 수 있으며, 주최사의 사정에 따라 관련 정보 및 일정이 변경될 수 있으니 참여 전 반드시 주최사 공식 홈페이지나 공지사항을 통해 최신 공모 요강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본 사이트(씽유)는 게시된 자료의 오류나 사용자가 이를 신뢰하여 취한 행동에 대해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공모전/대외활동

QUICK MENU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