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인투인미디어문의 및 요청 : mail@intoinmedia.com
전화: 02-6959-3370 (공모전 등록 및 수정)02-2233-4018 (배너광고 문의) 02-2233-4019 (공모전 대행 문의)
사업자등록번호 : 201-86-21825직업정보제공사업신고번호 : J1204220140006
대표이사 : 문기숙 주소 : 서울시 영등포구 양평로 21길 26 1203호
주최 | 한글문화연대 |
---|---|
후원 | 문화체육관광부 |
접수기간 | 2021-08-16 ~ 2021-10-15 |
응모분야 | 영상/UCC/사진, 학술/논문, 문학/예술 |
홈페이지 | 공모전 홈페이지 바로가기 |
첨부파일 | 포스터 참가신청서 다운로드 |
< 정부, 공공기관, 언론의 외국어 남용에 불편했던 이야기 수기·영상 공모전 >
일상에서 접하는 공공언어에서 어려운 외국 낱말 때문에 불편했던 여러분의 경험을 들려주세요!
■ 참가 자격: 우리말을 사랑하는 국민 누구나 (자격 제한 없음)
■ 공모 안내: 지정된 서식을 내려받아 작성 후 전자우편(메일)로 제출
※ 누리집 ‘쉬운 우리말을 쓰자!’ www.plainkorean.kr 알림>행사 참조
■ 시상 내용: 총 상금 1,300만 원
구분 |
수기 분야 |
영상 분야 |
||
상금 |
선정 |
상금 |
선정 |
|
으뜸상 |
200만 원 |
1명 |
200만 원 |
1명 |
버금상 |
100만 원 |
2명 |
100만 원 |
2명 |
보람상 |
50만 원 |
5명 |
50만 원 |
3명 |
북돋움상 |
5만 원 |
10명 |
10만 원 |
5명 |
※ 당선작이 없으면 시상 내용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상금은 세금을 미리 공제하고 지급합니다.
■ 공모 내용:
수기 분야 |
|
주제 |
1. 공공언어에서 쓴 어려운 외국 낱말 때문에 불편하거나 곤란했던 경험 2. 어려운 외국 낱말을 쉬운 우리말로 바꾸어 써서 좋았던 경험 |
분량 |
신청서의 지정된 양식(A4) 2장 이내 |
응모방법 |
붙임 문서 ‘수기 신청서’를 내려받아 작성 후 → urimal@urimal.org 로 제출 (전자우편 제목은 ‘수기응모_이름’으로) |
참고 |
사진 포함 가능(분량에서는 제외함) 어디에서 어떤 말로 겪었던 경험인지 반드시 밝히기 ‘가족’이 겪었던 경험도 응모 가능함 |
영상 분야 |
|
주제 |
1. 공공언어에서 쓴 어려운 외국 낱말 때문에 불편하거나 곤란했던 경험 2. 어려운 외국 낱말을 쉬운 우리말로 바꾸어 써서 좋았던 경험 3. 어려운 외국어와 쉬운 우리말과 관련된 모든 주제 가능함. |
분량 |
1~3분 이내(해상도 1920*1080픽셀 이상) 장르와 촬영기법에 제한 없음 |
응모방법 |
자신의 유튜브 계정에 영상을 올리고(전체 공개) → 붙임 문서 ‘영상 신청서’를 내려받아 작성 후 → urimal@urimal.org 로 제출 (전자우편 제목은 ‘영상응모_이름’으로) |
참고 |
영상 마지막에 한글문화연대 상징 반드시 넣어야 함 |
※ 공공언어란?
정부나 공공기관, 언론에서 국민이 보고 듣고 읽는 것을 전제로 사용하는 언어.
정책이나 제도 이름, 안내문, 표지판 내용 등 국민을 상대로 하는 모든 말과 글.
※ 어려운 말 예시
정치 영역에서 거버넌스, 컷오프, 로드 맵, 투 트랙, 핫라인 등
경제 영역에서 유니콘 기업, 어닝 쇼크, 어닝 서프라이즈, 패닉 바잉, IRP, 액셀러레이터 등
복지 영역에서 바우처, 배리어 프리, 웰니스, 커뮤니티 케어, 헬스케어 등
안전 영역에서 옐로카펫, 블랙 아이스, AED, 스미싱, 로맨스 스캠, 가스라이팅 등
시사 영역에서 AI, ICT, 모빌리티, 뉴노멀, 미디어 리터러시, 라이브 커머스 등
환경 영역에서 제로 웨이스트, 플로깅, 업사이클(링) 등
→ 더 자세한 예시는 ‘쉬운 우리말을 쓰자!’ www.plainkorean.kr 쉬운 우리말 사전에서!
■ 공모일정
- 접수 기간: 2021년 8월 16일(월) ~ 10월 15일(금)
- 수상작 발표: 11월 15일(월), 쉬운 우리말을 쓰자! 누리집
- 시상식(예정): 11월 20일(토), 한글문화연대 사무실
* 시상식 일정과 장소는 사회적 거리두기 등 사정에 따라 바뀔 수 있습니다. 정확한 시상식 일정은 누리집 공지에 알리고 수상자에게는 따로 연락합니다.
■ 귀띔:
<공통>
- 수기 분야와 영상 분야에 중복으로 응모할 수 있지만, 중복 수상은 불가능하며 더 높은 점수의 분야만 시상합니다.
- 접수된 작품은 반환하지 않으며, 수상작의 활용권은 한글문화연대에 있습니다.
- 수상작은 저작재산권 이용 동의를 받아 작품 일부를 수정·변경하여 복제·배포·전시 등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 수상 이후 허위사실 기재, 이미 발표된 작품, 유사한 내용으로 최근 3년 이내 다른 기관에서 수상했거나 표절한 사실이 밝혀지면 수상이 취소되고 상금을 환수합니다.
- 심사내용은 공개하지 않으며, 심사위원 구성, 심사기준, 심사 결과에 응모자의 이의 제기를 받지 않습니다.
<영상>
- 영상 분야는 개인 또는 단체 자격으로 응모할 수 있습니다. 단체가 상을 받으면 단체 이름으로 시상합니다. 단, 상금은 대표 응모자에게 지급하며, 상금 분배에 주최 측은 관여하지 않습니다.
- 영상 분야는 응모자의 유튜브 계정에 올려야 하며, ‘좋아요’ 수와 조회 수를 평가에 반영합니다.
- 영상 분야 수상자는 수상작 발표 후 7일 이내에 고화질 원본을 제출해야 합니다.
- 영상 제작에 사용되는 모든 자료(음악, 인물, 이미지, 서체 등)는 저작권, 초상권 등이 소멸하였거나 출품자가 이를 해결한 저작물이어야 합니다. 이와 관련한 분쟁 발생 시 모든 책임은 참가자에게 있습니다.
■ 문의: 한글문화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