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기로운 대학생활

딩동, 배달 왔습니다! 슬기로운 구독 생활

작성자관리자

등록일2022-11-14

facebook kakao link
딩동, 배달 왔습니다!
슬기로운 구독 생활
 
적은 돈인 것 같아도 비중이 큰 게 바로 구독 서비스다. 구독은 오래전부터 우리 생활 가까이에 존재해온 소비 방식이다. 현재 OTT, 도서뿐 아니라, K-POP 콘텐츠 플랫폼까지 구독 형태로 등장했다. 이제는 챙기기 귀찮은 모든 것을 구독에 맡기는 시대다.

 

소유에서 변화한 경제생활

미국 미래학자 제러미 리프킨(Jeremy Rifkin)은 2001년 발간한 《소유의 종말》을 통해 “미래 경제생활은 물건에 대한 소유가 아니라 서비스와 경험에 대한 접속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보다 다양한 가치를 소유하고자 하는 심리를 접속이라는 단어로 표현한 것이다. 실물경제 시대에서 당시 ‘소유의 종말’은 불가능에 가까운 개념이었다. 하지만 현재 경제활동은 소유에서 공유로, 더 넘어서 구독으로 빠르게 옮겨가는 추세다. 협업 소비를 기본으로 하는 공유경제가 코로나19로 인해 주춤하는 사이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을 내세운 구독경제가 견고하게 자리 잡기 시작했다.

구독경제는 소비자가 일정 기간 금액을 지불해 필요한 제품을 정기적으로 이용하는 활동을 말한다. 사실 이는 수십 년 전 우유와 신문을 구독하던 시대부터 존재했던 오래된 개념이다. 주로 유통·소비에 한정됐던 과거와 달리 최근에는 다양한 영역으로 확장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넷플릭스로 대표되던 구독 모델이 이제는 전 산업에 걸쳐 뚜렷한 패러다임으로 제시되는 것. 이와 관련해 2021년 취업포털 '인크루트'가 성인 남녀 807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정기구독 서비스 이용 현황’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68.5%가 ‘온라인 정기구독 서비스를 현재 이용 중’이라고 답했다. IT 분야 글로벌 리서치 기업 ‘가트너(Gartner)’는 2023년에 전 세계 기업 75%가 구독형 서비스를 제공할 거라고 전망한다.

 

구독을 큐레이팅하다

구독 서비스는 화장품, 생필품, 꽃, 도서, 의류, 인테리어 소품 등 개인 라이프 스타일과 밀접한 영역에 등장하면서 자연스럽게 일상에 스며들었다. 하지만 소비자가 선택한 상품만 정기 배송해주는 시대는 지났다. 이제는 업체가 알아서 상품을 골라 보내준다. 최근 구독경제 핵심은 고객 데이터를 기반으로 맞춤형 상품과 콘텐츠를 추천해주는 ‘큐레이팅(curating)’. 덕분에 매번 구입해야 하는 번거로움뿐 아니라, 선택하는 스트레스까지 모두 해결할 수 있다.

샐러드 전문 브랜드 ‘스윗밸런스’는 1~3개월 단위로 자체 큐레이팅한 샐러드 식단을 배송한다. ‘비슷비슷한 메뉴 탓에 빨리 질린다’라는 샐러드 한계를 다양한 메뉴 개발로 극복했다. 건강기능식품 구독 서비스 업체 ‘아이엠영양제’는 인공지능(AI)이 고객에게 필요한 영양제를 분석한 후 시간대별로 나눠 담아 개별 배송해준다. 상대적으로 이사가 잦고 거주 공간이 좁은 혼자 사는 사람을 위해 가구를 원하는 기간만큼 대여해주는 곳도 존재한다.
인공위성까지 구독하는 세상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구글 등 미국 대형 IT기업이 진행하는 이색 서비스도 눈에 띈다. 그중 성장 정체에 빠졌던 빅테크가 체질 개선에 성공한 사례로 어도비를 꼽는다. 어도비는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판매 수가 연간 약 300만 개에 그치는 등 실적이 부진했다. 이에 2012년 사업 모델을 기존 판매 방식에서 클라우드 서비스 형태의 구독 모델로 전환했고, 10년 만에 매출은 약 20배 정도 뛰었다. 구독경제를 새로운 사업 모델로 도입한 기업 실적을 주목해야 하는 이유다.

상상하기 어려운 분야에도 구독 서비스가 등장했다. 지난 2021년 9월 마이크로소프트는 일정 비용만 내면 인공위성 이용이 가능한 클라우드 서비스 '애저 오비털(Azure Orbital)'을 발표했다. 이를 통해 석유 시추 회사는 바다 한 가운데 떠다니는 탐사정을 위성으로 원격 통제할 수 있으며, 날씨가 중요한 업체는 더 정확한 기상 예측이 가능해졌다.

 

구독경제 속 그림자

구독경제 3.0 시대다. 핵심 소비 주체는 단연 Z세대. 이들은 사소한 부분 하나하나 취향과 개성을 존중받으며 자랐다. 예를 들어 현재 학교에서 흰 우유가 아닌 다양한 맛 우유를 골라 먹거나 ‘채식 선택제’를 통해 비건 급식 신청이 가능하다. 구독 서비스에 반응하는 이유도 여기서 찾을 수 있다. 영화 하나를 소유하는 것보다 다양한 선택이 가능한 OTT를 이용하는 게 낫기 때문.

구독 서비스를 이용할 때 유의할 점은 가성비에서 기인하는 ‘망각’이다. 가격 장벽이 낮은 탓에 별생각 없이 구입하기 쉽지만, 장기적으로 봤을 때 정말 알뜰한 소비인지는 생각해봐야 할 문제다. 또 무료 체험이 끝나 유료로 전환될 때 고지하지 않아서 생기는 다크 넛지(Dark Nudge) 상술도 주의해야 한다. 물론 이용자 불편을 줄여줄 제도는 있다. 지난 2021년 8월
<여신전문금융업법 시행령 개정안>이 국무회의를 통과했다. 이에 따라 구독 서비스 사업자는 유료 전환 7일 전 이용자에게 사전 고지 의무가 생겼다. 환불 요청 시에는 사용일 수·회차 등을 고려한 적정 금액을 환불해 줘야 한다. 이런 제도 보완이 마련됐음에도 우려는 여전하다. 특정 분야에서 구독경제를 펼치는 기업이 시장을 독점하면 소비자 선택권이 줄어드는 것.

구독 서비스는 다양한 방향으로 확장 중이며 이러한 소비 트렌드 흐름은 앞으로도 이어질 예정이다. 지금은 ‘가성비 좋은 소비’라는 평가를 받지만, 관련 시장이 성장하는 만큼 반대 평가가 쏟아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소비자는 반드시 필요한 건 무엇인지, 정기 결제 늪에 빠진 건 아닌지 돌아볼 필요가 있다.
CREDIT
 양지원 기자

QUICK MENU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