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인투인미디어문의 및 요청 : mail@intoinmedia.com
전화: 02-6959-3370 (공모전 등록 및 수정)02-2233-4018 (배너광고 문의) 02-2233-4019 (공모전 대행 문의)
사업자등록번호 : 201-86-21825직업정보제공사업신고번호 : J1204220140006
대표이사 : 문기숙 주소 : 서울시 영등포구 양평로 21길 26 1203호
새내기 어서 와, 개강은 처음이지? 헌내기가 알려주는 학교생활 팁 |
---|
이제 막 대학교에 입학한 새내기에게 개강만큼 설레는 일은 없을 거야. 웹툰이나 드라마에서 보던 유정 선배는 있을까, 벚꽃이 활짝 핀 캠퍼스에서 만끽할 봄을 상상하기만 해도 웃음이 나. 기대로 가득 찬 새내기에게 경험 가득한 헌내기가 학교생활에 도움 될 조언을 해줄게.
선배와 자연스럽게 대화하는 꿀팁을 알려주세요. 그동안 한두 살 많은 선배와 얘기할 기회가 턱없이 부족했죠. 대학교에서는 선배와 잘 지내고 싶은데 무슨 주제로 대화를 시작해야 할지 고민이에요. 어떻게 해야 부담스럽지 않게 다가갈 수 있을까요?
A. 가볍게 동아리 가두모집은 언제인지, 또는 어떤 동아리가 재밌는지 등에 대해 말문을 여는 것도 좋은 방법이에요. 또 1학년은 더 바빠지기 전에 여행을 다녀오기 좋은 시기이니 관련 질문을 하면서 자연스레 대화를 이어 보세요.
개강 파티나 MT에서 술 마실 때 주의해야 할 점이 있을까요? 성인이라는 기분에 취해 술을 잔뜩 마시고 흑역사를 생성하고 나니 대학교 개강 파티나 MT에 가서도 실수할까봐 걱정입니다. 적당히 마시는 방법이나 술자리에서 조심해야 할 사항을 숙지하고 싶어요.
A. ‘술자리에서 눈에 띄는 행동을 하면 졸업할 때까지 꼬리표를 달고 다닌다’라는 말이 있죠. 실제로 동기에게 술 배틀을 신청했다가 진 뒤로 ‘패배자’라는 별명이 지금까지 따라다녀요. 우리는 술고래가 아니라 어른이니 감당할 수 있는 만큼만 먹어야 한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해요!
대학교에서 하는 동아리나 학생회 활동이 도움 되는지 궁금해요. 대학교 시험을 준비할 때 ‘족보만큼 중요한 건 없다’라는 얘기를 들었어요. 대부분 동아리나 학생회 활동을 하면서 친해진 선배에게 받는다던데 이런 활동을 하면 앞으로 어떤 도움이 되는지 알려주세요.
A. 동아리나 학생회를 통해 선배와 친해져야 족보를 편하게 얻을 수 있는 건 사실이에요. 특히 전공 수업 족보는 학과 활동에 활발히 참여하면 구하기가 훨씬 수월하죠. 그 외에도 넓은 인맥을 쌓거나 자기계발하기 좋으니 추천해요.
강의에 대한 궁금증은 어떻게 풀어야 하나요? ‘꿀 교양’으로 유명한 과목을 수강 신청했는데 수업을 듣다 궁금한 점이 생겼어요. 아직 동기나 선배에게 물어보기에는 어색해서 이 궁금증을 어떻게 해결하면 좋을지 고민하면서 발만 동동 구르는 중이에요.
A. 교수님께 여쭤보는 게 가장 빠르고 정확하지만 부담스럽게 느껴질 수 있죠. 그럴 땐 에브리타임 앱을 활용하면 좋아요. 해당 과목을 이전 학기에 들은 선배가 남긴 조언도 있고 자유게시판에 질문을 쓰면 같은 수업을 듣는 분이 답변해 줄 거예요.
첫 시험과 학점 관리는 어떻게 준비하는 게 좋을까요? 첫 시험을 생각하니 벌써 눈앞이 깜깜해요. 주관식이 아닌 논술형 문제를 대비하려니 막막하더라고요. 새내기의 넘치는 열정으로 전 과목 A+에 도전하고 싶은데 학점 관리 비법이 궁금해요.
A. 첫 시험은 교양 과목이 많아서 비교적 부담이 적기 때문에 조금만 공부해도 높은 학점을 받을 수 있어요. 학점 관리는 미리 해둬야 고학년 때 편하답니다. 최소 2주 전에는 공부를 시작하고 논술형 문제는 중요한 부분을 빠짐없이 암기하면 좋아요.
마지막으로 새내기에게 해주실 말씀이 있나요? 개강을 앞둔 새내기에게 응원의 한마디 해주시면 정말 힘이 날 것 같아요. 처음이라 두근거리고 떨리는 낯선 대학교라는 세상 속에서 어려울 때마다 떠올리고 싶어요.
A. 대학은 작은 사회라는 말이 있어요. 여기저기서 많은 조언이나 충고가 들릴 텐데 모든 말에 정답은 없다는 사실을 기억하길 바라요. 소신대로 대학 생활을 즐긴다면 졸업할 때쯤 좋은 어른, 멋진 학생으로 성장해 있을 거예요.
CREDIT 글 엄정민 인턴기자 |